변실금은 여러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변적인 원인에는 약한 골반층, 약하거나 손상된 항문 괄약근, 괄약근 신경 공급 장애(외음부 신경장애)가 있습니다. 이 경우 진단이 필요하며 생물학적 피드백, 의학적 치료 및 수술을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원인
골반층 및 항문괄약근 약화, 외음부 신경장애는 연령, 폐경 후 갱년기로 인한 호르몬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다산 및 힘든 노동을 지속할 경우 골반층 및 항문 괄약근 약화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증상
변실금은 완전하거나 불완전할 수 있습니다. “완전 변실금”은 액체, 고체형 변을 배출할 때마다 항상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완전 변실금”은 이런 증상이 가끔씩 발생하는 경우를 뜻합니다. 변실금은 액체형이거나 가스만을 배출할 때, 혹은 화장실 근처일 때, 특정한 경우(기침, 배변, 운동)에도 발생합니다.
증상
대장항문외과 담당의는 아래의 순서에 따라 항문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 항문내시경 초음파(항문괄약근 내 문제 진단)
- 항문내압검사(직장 압력 변화 측정)
- 음부신경전도검사(음부 신경 알아내기 위해)
과정
변실금은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해야 합니다.
의학적 치료
변실금 완화를 위해 차전자피(메타무실® 또는 피보젤®)과 같은 비용매성 셀룰로오스 완하제, 또는 로페라마이드(가스트로스톱®) 또는 황산아트로핀(로페라마이드®)와 같은 팽창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피드백
바이오피드백을 통해 변실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항문내압검사에서 압력 제어 불능 진단을 받은 완전 변실금의 경우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간호사에게 관련 운동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장세척
관장을 통한 장세척은 변실금이 불편한 상황에 앞서 결장을 비워줍니다. 플리트® 관장약을 항문에 조심스럽게 삽입하고 15-20분 가량 지속하면 완벽하게 장을 비울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관장이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 두 번째 관장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
변실금 때문에 생활이 힘든 변실금 환자들은 수술을 통해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수술은 항문 괄약근 복원(전방 중복 괄약근 복원술), 골반층 직장-S결장 각 복원(항문후방 교정술), 괄약근 강화(기능적 치골경골근 치환술), 외음부 신경 자극을 통한 항문 괄약근 지원(천수신경 자극법)을 포함합니다.
주입용 팽창제는 실리콘(PTQ®)이나 탄소 결합 흑연 비즈(듀라스피어)가 있으며 항문 괄약근에 주입합니다. 팽창제 주입은 안전하고 수술이 필요없지만 장기적 이점은 제한적입니다.
변을 대장루 또는 회장루로 받는 장루 설치는 변실금이 최대로 악화되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절개 없이 복강경 수술을 통해 시행됩니다.
변실금 수술 전후 준비사항
대장내시경을 하지 않는 경우 관장 없이 수술 전 금식해야 합니다. 수술이 아침에 시행될 경우 전 날 새벽부터 금식해야 하며 오후에 시행될 경우 새벽 6시부터 금식합니다. 수술은 하루에 걸쳐 진행됩니다. 인산나트륨(플리트®) 관장약을 수술 한 시간 전 받습니다. 수술 직후 일반적인 식사가 가능하지만 차전자피(메타무실®, 피보젤®) 한스푼을 하루 두 번 복용합니다. 경우에 따라 락툴로오스(듀파락®)이나 벽오동(노르마콜®)과 같은 완하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외음부 수술을 받았다면 하루 두번 좌욕을 하여 해당 부위를 진정시키고 치유합니다. 천수 신경 자극 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상처부위를 고정하고 수술 후 1주일 가량 샤워만 하고 목욕은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