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시경

위내시경 검사란?

위내시경 검사는 섬유광학 위내시경을 입을 통과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소장 첫 부분)으로 삽입하는 것입니다.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진정제를 투여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진행됩니다.

위내시경 검사는 언제 필요합니까?

위경검사는 상복부 통증이나 거북함 또는 위-식도 역류병, 또는 가족이 위암 식도암 병력이 있을 경우 시행합니다.

''

식도염이란?

식도염은 위산 내용물이 식도를 타고 역류하는 위-식도 역류병(GORD)로 인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틈새 탈장이 있는 환자에게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위경 검사를 하는 동안 붉은 반점(홍반) 또는 심지어 식도 점막 궤양이 발견되는지의 여부를 통해 진단을 하며 생검을 통해 조직병리학적으로 식도염 진단을 확정합니다.

식도염은 산을 낮추는 약품으로 치료합니다. 가장 효과가 높은 약물은 소화기 궤양 치료제로서 판토프라졸(소막®), 라베프라졸(파리에트®), 오메프라졸(로섹®, 또는 에스오메프라졸(넥시엄®)을 포함합니다. 만성 식도염은 형성이상과 심할 경우 암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생검으로 배제 가능합니다.

위염이란?

위염은 산과 분비물 사이의 비조화로 발생하고 또한 박테리아 헬리코박터 필로리균으로 인한 감염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위경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위점막의 외형을 살펴본 후 위염의 증거를 찾아볼 수 있으며 보통 붉은 반점(홍점)과 경우에 따라 궤양이 발견됩니다. 비통증 생검을 시행하여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통해 활성화된 위염인지 또는 헬리코박터 필로리균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헬리코박터 피롤리균이 검증된 경우 페니실린 알레르기 없이 아목시실린, 클래리스로마이신, 에소메프라졸(넥시엄 HP7®)을 2주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만성 위염 또는 헬리코박터 감염은 만성 위궤양 또는 심지어 암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위경검사 동안 생검을 통해 배제할 수 있습니다.

''

만성 소화 장애증이란?

만성 소화 장애증이란 모든 연력층의 사람들에게서 유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장 자가면역질환입니다. 밀가루에서 발견되는 글리아딘(글로텐)에 저항하는 항체로 이어집니다. 소장 점막 융모 통증으로도 이어집니다. 설사와 복부 팽창이 자주 발견되는 유일한 증상입니다. 환자에게 안정제를 투여한 후 위경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소장 생검을 채취하여 진단을 할 수 있으며 통증이 없습니다. 진단이 확적되면 글루텐을 포함하지 않은 식이요법을 통해 증상을 없앱니다.

유당분해 효소결핍증이란?

유당분해 효소결핍증이란 우유에서 발견되는 당인 락토스를 소화할 수 없는 증상입니다. 이는 락타아제 효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성인에게서 주로 발견되며 유전적 락타아제 생성 결핍(유당분해효소결핍) 또는 반복된 장염에서 발생한 일시적 증상으로 유발됩니다. 유당분해효소결핍증은 유제품 섭취 후 30분에서 2시간 동안 복부 팽창, 통증, 설사과 같은 증상을 유발합니다. 장 생검을 통해 유당분해효소결핍증을 진단 및 확정할 수 있습니다.

락토스 정도는 환자와 시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유당분해효소결핍증은 완벽한 증상이 아닙니다. 유당분해효소결핍증은 건강에 더욱 위험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증상을 최소화 함으로서 병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병 관리를 위해 유제품을 피하고 식물성 우유(두유, 우유죽, 오트밀크)를 대체제로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내시경 검사 전 준비사항

위내시경 검사는 하루 동안 진행됩니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지 않는 이상 위내시경 검사에 앞서 관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위내시경 검사에 앞서 6시간 동안 금식해야 합니다(음식 또는 액체 섭취 금지).

위내시경 검사 과정

위내시경 검사는 빠르고 쉽고 안전합니다. 환자에게 안정제를 투여한 상태에서 위경검사를 진행합니다. 환자는 위내시경 삽입에 앞서 마우스가드를 물고 있어야 합니다. 생검은 통증 없이 진행됩니다.

위내시경 검사 후 준비사항

위경 검사 후 퇴원까지 1-2시간 동안 회복시간을 갖습니다. 퇴원 후 혼자서 움직이거나 운전을 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를 동반해야 합니다. 생검 결과는 1주일 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1. You WC, Zhang L, Gail MH, et al. Gastric dysplasia and gastric cancer: Helicobacter pylori, serum vitamin C, and other risk factors. J Natl Cancer Inst 2000;92:1607–12. [PubMed].
  2. Sung JJ, Lin SR, Ching JY, et al Atrophy and intestinal metaplasia one year after cure of H. pylori infec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Gastroenterology 2000;119:7–14. ​​​​​​
Banner Image